도시웰빙

도시웰빙
수업주제 본 수업은 공간적 지속가능성과 개인의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다룬다.
수업 목적 및 목표 도시·사회혁신은 도시 및 지역의 지속가능성(sustainability), 그리고 여기에 거주하는 시민의 행복(happiness)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. 한편 행복은 학술적으로는 주관적 웰빙(subjective well-being)으로 정리된다. 본 과목은 공간적 지속가능성과 개인의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하여 행복의 7대 요인인 가족 등 친밀한 관계, 재정 상황(소득과 부), 근로, 건강, 개인의 자유, 개인적 가치(신념), 그리고 커뮤니티를 살핀다. 이로써 웰빙 증진과 사회혁신을 가능케 하는 계획가의 역할에 관해 이해한다.
사회공헌 실천활동 분야 정책/인식개선
사회공헌 실천대상 기타

팀별활동내역

소속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담당교수 김태형
활동기간 2023년 3월 ~ 6월 활동장소 관악구
활동목적 본 사회공헌활동의 목적은 첫째, 파악된 청년가구의 어려움을 기반으로 기존 선행연구와의 합치성 비교와 기존 관악구청 청년정책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음. 둘째, 이를 기반으로 관악구청 청년문화국에서 새롭게 개관하는 ‘관악청년청’의 메인 프로그램을 제시함. 마지막으로, 프로그램이 활동 대상자인 청년 가구에게 실질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인터랙티브한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한 확산 전략을 제시하고자 함
활동내용 1. 문제 발굴
관악구 내 대상지 거주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 문제 및 기시행 청년정책의 실효성 관련 온라인 설문조사 실시
관악구 내 대상지 거주 청년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(FGI)를 통한 의견 수집
관악청년청, 청년문화국 등 각 관련 기관 전문가 대상 심층 인터뷰
- 의견 청취 내용: 현재 (1인) 청년 가구로서 생활 고충과 그 원인으로 예상되는 지역의 사회·경제적 특성 등

2. 현황과 대조 분석
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청년 가구의 문제점을 유형화 및 분류체계 제시
각 인터뷰를 통해 주요 문제점의 원인일 것으로 지적된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 파악
분석 결과 및 기존의 계획과 정책 자료 검토를 바탕으로 청년가구의 고충과 관계있는 지역 요인들이 현재 청년 정책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는지 파악

3. 해결방안 제시
분석 결과에서 얻은 주요 문제점을 종합하여 7월 중순 중 청년정책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을 관악구청 청년문화국에 제안
신설 예정인 관악청년청에 청년의 수요를 기반으로 한 프로그램 제안
프로그램의 질에 비해 파급효과가 떨어지는 공공주도의 청년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상호 교류와 참여가 가능한 ‘커뮤니티 매핑’을 통하여 정책을 더 많은 수요자에게 확산할 수 있는 네트워킹 전략 제시
활동소감 활동을 통한 학습 소감
1. 관악구 청년에 대해 기존 통계청에서 제공하지 않았던 설문지 항목을 개발 수집 및 분석
2. 실제 관악구청 공무원들과 소통을 통해 정책 결정은 어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, 어려움은 무엇인지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및 제언 활동에 도움이 되는 현실적 감각을 키울 수 있음
3. 커뮤니티 매핑을 통한 활성화 전략, 혹은 그와 유사한 시범사업을 진행함으로써 도서와 논문에서 논의된 확산 전략이 실제로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경험을 얻을 수 있음

활동을 통한 사회공헌 소감
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청년 문제에 대한 데이터가 기존 선행연구와 다르다면,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달라지는 청년들이 느끼는 고충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로 작용
혹은 이를 관악구의 지역적 특성에 따라 만들어진 독특한 청년들이 겪는 어려움으로 간주하여 그 원인을 파악하여 지역연구에 기여함
기존에 청년정책이 수요자에게 제대로 다가갈 수 없었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보임. 첫째는 프로그램의 효율성으로, 보다 효과적 프로그램 제시를 통해 다양한 수요자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이 되도록 함
둘째는 공공프로그램 특유의 부족한 전달력과 홍보력 때문인데, 이를 개선하여 향후 어떤 정책을 시행하더라도 전보다 수요자에게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징검다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함

활동자료